728x90
운동하면 다 좋다,
이건 상식이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어떤 운동이 좋은가?
이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이 보인다,
덴마크 어느 교수가 쓴 논문에서 나온다는 얘기인데,
톱8 운동 중에서 1위가 테니스였다.
**왜 테니스인가?
현실과는 좀 다른 것같다,
60대 정도부터는 테니스를 접고, 다른 운동으로 옮긴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렇다.
더구나 테니스하다가 근육통이 제대로 걸리거나,
아켈레스건이 나가 본 사람이라면, 테니스를 접고 만다.
그런데 서양에서는 좀 다른 것 같다,
여행하다가 본 장면 중에서, 할아버지와 손자가 서로
테니스를 치는 모습을 봤다,
우리가 보던 테니스 장면이 아니었다.
서로 받기 좋게, 잘 넘겨주고, 그렇게 격렬하게 하지
않는 장면인데,
우리나라에선 보기 힘든 장면이다.
우리는 좀 격렬하게 한다, 상대방이 받기 힘든 곳으로
볼을 세게 보낸다.
그러니 사고가 날 수 밖에--!
**건강 운동, 상식과 다른 것
좀 나이가 들면 헬스클럽에 많이 간다,
젊은이들도 그렇다, 시간을 줄이고 굳이 야외에 나가서
하는 절차상의 복잡함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위 연구 결과를 보니, 수명 연장효과는 제일
꼴찌다. 아마도 혼자하는 운동이어서 그런 것 아닐까?
테니스 배드민턴이 수명연장 효과가 큰 것은
사람들과 어울려서 함께 하는 운동이기 때문일 거다.
그래서 사이클링, 수영, 조깅 등은 기대만큼 높지 않다,
모두 3점대다.
728x90
'살며 노래하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장판 올바른 사용법, 라텍스 재질 침구류 사용금지 (2) | 2024.01.24 |
---|---|
알츠하이머 혈액으로 진단, 집에서도 가능한 진단키트 개발 (2) | 2024.01.24 |
임영웅 콘서트 아임 히어로 투어 2023 마지막 공연 사연 (0) | 2024.01.23 |
한국 요르단 아시안컵 축구 무승부 게임 졸전 이유는? (0) | 2024.01.20 |
태진아 옥경이 치매 투병 현장, 치매 친구와 1박2일 여행 스토리 소환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