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며 노래하며

한강 삼촌 한충원 목사, 충격과 절망의 메시지

728x90

한강은 노벨상 수상자다, 

가문의 영광, 개인의 영광, 세계인의 주목, 

대통령되기보다 훨씬 어려운 영예. 

 

그런데, 한강의 삼촌, 한충원 목사는 조카의 작품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타락의 극치다, 

->기쁨보다 충격과 놀라움이 앞선다, 

->청소년들이 읽어서는 안된다, 

->이런 작품을 쓰는 작가는 인류공동체에서 살아가길

  포기한 사람이다, 

->사람들에게 허무와 절망감을 심어주는 작품이다, 

 

이런 평가와 함께, 

한강의 집안 얘기도 놀랍다, 

삼촌 한충원 목사와는 집안끼리 서로 연락이 두절된 채로

살아간다는 얘기, 

이 또한 놀랍다. 

 

**소설 작품을 읽는 사람들

정말 많을까?

한강 작품들이 노벨상 수상하자마자 동이 나버리고, 

너도나도 소설책 사보자고 난리가 나는 현상, 

나는 그저 묵묵히 듣고 보고 있다, 

원래부터 소설을 잘 안읽기도 하고, 

평생을 읽어봐야 전공 공부 때문에 억지로 접한 작품들, 

그런데 한두권 정도는 늘 기억한다, 

몇마디의 말, 생각, 행동, 이런 것이 충격이기도 하고 생경하기도 하고, 

그래서 기억한다, 하지만 더 읽겠다고 분주하지는 않다. 

 

->소설에서 얻는 것.

가끔 생각한다, 카뮈의  소설 '이방인', 

주인공이 죄를 짓고 감옥에 들어가서 독방에서, 

시간보내는 방법을 독백하는 장면, 

불과 몇평 안되는 좁은 공간에서, 

벽이든 지붕이든, 한곳을 주시하며, 그 한곳을 스캔해서 구석구석

세세한 곳을 모두 관찰하는 것, 

매우 인상적이었고, 그렇게 하면 심심하다, 우울하다, 적조하다, 

그런 마인드를 극복할 수도 있겠다, 그런 생각을 하며, 

가끔씩 그 장면을 떠올린다. 

 

그리고 소설이 아니더라도, 

어느 지인 한 사람이 들려준 얘기, 

대체 심심하다는 게 무슨 소리인가요?

엄지 발가락 까딱까딱 하기만 해도 얼마나 재미있는데요?

그 소리 듣고, 이 사람 맨탈 갑이다, 

그렇게 생각했다. 

 

*관련 기사는, 

"조카 소설, 타락의 극치" 한강의 목사 삼촌, 공개 편지 - 파이낸셜뉴스

 

"조카 소설, 타락의 극치" 한강의 목사 삼촌, 공개 편지

최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삼촌인 한충원 목사가 조카에게 장문의 공개 편지를 썼다. 대전 한 교회 담임목사로 있는 한 목사는 지난 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사랑하는

www.fnnews.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