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97)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토가 우크라이나 가입을 주저하는 이유 지금 BBC뉴스에서 나온다, 나토가 우크라이나 가입을 주저하는 이유를 이렇게 말한다, My heart says 'Yes', but my head says 'No'. (워싱톤포스트 인용) 정말 기가막힌 설명이다, 가슴으로는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을 수용하고 싶다, 하지만 머리로는 지금 그것을 수용할 수 없다. **나토가 우크라이나 가입을 주저하는 이유 딱 한마디로 말하면, 동맹 연루 리스크로 설명할 수 있다. 어느 국가를 멤버로 받아들이는 경우, 그 나라가 안보위기를 당했을 때, 자동적으로 지켜줘야 하나? 그럴 가치와 신의가 있나? 이런 얘기다, 우크라이나에게 나토 멤버십을 부여하는 경우, 우크라이나가 또 다른 전쟁에 처했을 때, 나토 회원국은 모두 다 나서야 한다, 우크라이나를 지키기 위해서--! 이것이 .. 한국의 경제파워, 세계13위 미국 중국은? 2022년 현재, 한국의 경제파워는 세계 13위다, 3년 연속 10위를 유지했는데, 3단계 하락해서 13위가 되었다. **경제파워란? 전통적, 고전적 공식으로 계산했다, 국내총생산 GDP 규모로 측정했다는 얘기다. 1인당 GDP가 높고, 인구가 많으면 유리하다. **세계 1, 2위는? 미국이 1위다, 25조 4천 627억달러, 중국은 17조8천760억달러, 이 수치로 보면 G-2가 맞다. 3위가 일본인데, 4조2천256억 달러, big2와 비교 자체가 안된다. **세계 톱10은? 일본 3위에 이어서, 독일->영국->인도->프랑스->캐나다->러시아->이탈리아 순서다. (러시아가 이렇게 쪼그라들었나?) 그 뒤를, 브라질->호주->한국->스페인->멕시코가 잇는다. **한국의 경제파워 10위권 진입 전망은? 그.. 북중관계 실체, 중국이 남북한을 관리하는 방법 북한은 중국의 애물단지일까? 아니면 고맙고 든든한 형제국가일까? 그리고 한국은 중국의 어떤 존재일까? 4가지 질문을 던져보기로 한다. #1 북한은 중국의 동맹국인가? 동맹국이었지만, 지금은 실효성이 거의 없다, 조약은 있지만, 서로 동맹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기묘한 행동을 한다. 북한은 중국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려 하고, 중국은 최대한 묵시적으로 길들이기를 원한다. 북한은 중국의 위성국가다, 이것이 중국이 원하는 대북한 관리전략이다. 그래서 북한 핵무기를 그냥 방조한다, 사실상 북한을 포함하는 중국의 영향권역 내에 핵무기 몇개가 추가된다고 여긴다. #2 중국이 북한의 도발을 방관하는 이유는? 북한 내부에서 뭔가 이상징후가 있다고 판단하긴 하지만, 차라리 도발행동을 하더라도 북한 자체가 망하는 것보다는 .. 외국의대 중에서 한국정부가 인정하는 의대는 어느나라 어느 대학인가? 외국에서 의대를 졸업했다고, 한국에서 의사로 개업할 수 없다. 사실 상식적으로는 세계 권위를 인정하는 대학 의과대학을 졸업해서 의사 자격을 취득하면, 한국에서도 인정해야 마땅하다, 그렇게 생각해 왔는데, 오늘 뉴스를 보니, 그렇지 않다. 한국정부, 즉 보건복지부에서 인정하는 곳만, 한국에서 의사 시험을 볼 수 있고, 여기에서 통과하면 의사 자격이 주어진다고 한다. **어느 나라 어느 대학을 인정하나? 미국이 가장 많다, 총 25개 의대를 인정한다. 이어서 필리핀 18개 대학, 독일 15개 대학, 일본 15개 대학, 영국 14개 대학, 러시아 11개 대학, --- 이렇게 이어지는데, 특이한 곳도 보인다. 우즈베키스탄 4개->헝가리 4개->폴란드 3개->카자흐스탄 2개-> 파라과이 2개->그레나다 1개->니.. 국제원자력기구 IAEA 유엔 산하기구 맞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가 여러군데로 불똥이 튄다, 그리고 오늘 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유엔 산하기구인가, 이 기구가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문제를 판정해도 되나, 이런 문제들을 제기하는 상황으로 발전했다. 대한민국 정치인들, 전문가들, 지식인들이 눈을 뜨고 있는데, 이런 논쟁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대체 어느 나라 사람들인가? 정말 웃기는 쟁점들을 제기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주장은, *IAEA가 후쿠시마 오염수 위험여부를 판정했다고 그것을 신뢰해도 되나? *일본정부가 IAEA를 돈으로 매수해서 자기들 유리한 결론을 내도록 유인하지 않았나? *IAEA가 유엔 산하기구 맞나? (유엔 산하기구라면, 신뢰가 간다는 얘기일까?) 그래서 짚어보고 찾아본다, 국제원자력기구 IAEA 실체와 임무에 대해서--! **국제.. 나토 확장 이제 러시아만 남았다, 러시아 운명은? 나토 확장이 이제 마지막 관문을 남겨둔 상태다, 딱 러시아 한 나라만 남았다. 그리고 푸틴 대통령은 휘하 군부세력이 서로 다투는, 민망하고 절망적인 상황을 관리해야 하는 절박함에 봉착했다. 앞으로 러시아는 어찌해야 하나? 나토 회원국으로 자발적으로 참가해야 하나, 아니면 나토와 대척하면서, 다시 힘을 키워야 하나? 러시아 확장, 왜 이 정도까지 추진되었는지, 살펴본다. ->나토는 왜 창설되었나? 냉전 시대의 유물이다, 나토와 바르샤바 조약기구와 맞설 때 창설되었다. 그리고 구소련이 무너지면서, 바르샤바 조약기구는 해체되었고, 나토는 해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나토가 해체되지 않은 이유는? 굳이 말하자면, 러시아가 아직 건재하기 때문이다. 구소련체제에 억눌렸던 동유럽 국가들이 모두 나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해상방류가 최상 최적인 이유, IAEA 그로시 사무총장 반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의구심 중에서 가장 강력한 의혹은, 해상 방류하지 말고, 다른 방법으로 하면 안되나? 이 질문이었다. 그런데 국제원자력기구 IAEA 그로시 사무총장이 이에 대해 반론을 제기했다, 요약하면, ->해상 방류 이외의 선택지가 없었다, 딱 한가지를 꼽으라면, 오염수를 증기로 만들어서 공중에 방출하는 방법인데, 이 방식은 더 위험하다, 비에 섞여서 다시 땅으로 내려오면 환경위험이 더 크게 발생한다. ->장기 저장한다든지, 농업 공업용수로 사용한다든지, 이런 방식은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방법이며, 인류를 실험실 대상으로 삼는, 아주 위험한 방법이다. 전 세계인을 '기니 피그' (실험실 쥐)로 삼아서 되겠는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을 할 건가, 말 건가, 이 문제는 한국정부가 결정할.. 어머니 치매 유전 확률, 알츠하이머 발병위험은 72% 믿어도 되나? 부모 중에서 치매 환자가 있다면, 유전 확률이 매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경우가 확률이 더 높다. ->누가 어디서 연구했나? 분당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이다. 한국을 포함해서 8개 국가 노인 1만7194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한 결과다. 연구 대상 국가는, 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웨덴, 그리스, 호주, 필리핀이며, 조사대상자는 평균 연령 72.8세의 노인들이다. ->치매, 알츠하이머 어느 정도 유전되나? 부모 중에서 한 명이라고 치매 병력이 있으면, 자녀의 치매 발병 위험은 47% 확률이다, 거의 50%는 발병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은 더 높다, 72%다. 특히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경우가 확률적으로 더 높다, 어머니가 .. 이전 1 ··· 153 154 155 156 157 158 159 ··· 16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