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86)
대체육 비건문화 2030 세대에서 호응도가 높은 이유 대체육, 새로 부상하는 용어다. 고기를 대체하는 가공식품인데, 대부분 콩 단백질이나 밀가루 글루텐 등 식물성 재료로 만든 식품이다. 굿뉴스는, 20 30 세대에서 대체육에 대한 호응도가 높다는 사실이다. 신세계푸드에서 여론조사 기관에 위탁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 30세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67.8%가 대체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대체육, 왜 필요한가? 여론조사 응답에서 왜 대체육이 필요한지 물었더니, 환경을 생각해서 (71%), 동물복지를 생각해서 (57.7%), 가치 소비의 일환으로 (51.9%), 이렇게 응답했다. 아주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래도 20 30세대가 환경문제와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무엇보다도, 이런 경향을 가치소비 프레..
추미애 문재인 갈등, 통치자의 고뇌 정치인의 비애 정치란, 사회에 존재하는 희소가치를 권위적으로 배분하는 과정이다. 그러니까 사람들이 서로 가지려고 덤벼드는 것에 대해, 누군가에게 배분하는 과정이다, 이런 말이다. 현실적으로 보면, 국가에서 이 과정을 담당하는 사람이 곧 통치자다. 우리나라에선 대통령이 바로 그런 사람이다. 어제 오늘, 정말 가슴을 찌르는 뉴스를 하나 지목하라면, 단연 추미애 전 법무장관이다, 자신이 그 자리를 그만둘 때, 대통령이 거의 강제로, 자리를 내놓으면 좋겠다, 이렇게 말해서 정말 화가 나고, 답답하고, 그래서 자신을 법무장관에 앉혔던 당사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섭섭하다 못해, 아주 안좋았다, 어느 누군가는 이 대목에서 추미애 전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이 기회주의자라고 말했다는 걸 직접 들었다고도 전한다. 이 대목에서 느끼는..
인공 감미료 암 유발 가능성, 세계보건기구 WHO 경고 인공감미료, 정확한 이름은 아스파탐이다, 설탕 대신 단맛을 내는 감미료인데,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서 이젠 상식이 된 요즘, 이 감미료가 암 유발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내려질 모양이다. 그것도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기관' (IARC)이다. BBC에서 보도한 기사 내용의 핵심은, ->경고 수준은, 이 물질, 즉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암을 유발할 수도 있는 물질', 이라는 것이다. ->아스파탐은 다양한 식음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윤석열 대통령이 '제로 콜라'를 즐긴다는 사실도 알려진 만큼, 아스파탐의 용도는 무척 넓고 포괄적이다. 설탕보다 200배나 더 단 맛을 내고, 다 합치면, 식음료의 종류는 약 6000개에 이른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암연구기관 IARC가 ..
북한 핵미사일은 중국이 배후, 중국의 대만 정복전쟁 일환 매우 리얼하고, 정확하고, 섬찍한 분석이 나왔다. 스위스 연방정보국에서 발표한 보고서다. 특히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북한 핵미사일 개발은 누가 지원하고 도왔나?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하는 목적이 전적으로 국내용인가? 중국의 대만 정복전쟁과 북한 핵미사일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북한 핵미사일 개발을 지원한 세력은? 중국, 러시아다. 특히 중국이 배후의 주인공이다. ->그동안 이 대목에 대해서 국제사회가 그냥 방관했다고 생각한다.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긴 했지만, 그저 형식적이었다고 생각하던 차인데, 스위스 보고서에서 이걸 리얼하게, 선명하게 지목했다. 중국이 북한을 사주한 점, 이 대목을 한국이나 미국, 일본에서 놓치면 안된다. **중국의 대만 정복전쟁과 북한 핵미사일은? 연관성이 높다..
교육부 철밥통 국립대학이 자리 나눠 먹기 대상인가? 어제 오늘 윤석열 대통령이 분노한 사안은, 바로 국립대학 사무국장으로 가는 고위직 인사들인데, 이걸 아는 국민이 거의 없을 것인데, 왜 이런 문제들이 터졌을까? 중앙일보 관련 기사를 보니, 중앙일보에서 이 문제를 기사로 보도한 모양인데, 이걸 윤대통령이 보고나서, 격앙했다는 소식이다. 교육부가 대통령 지시는 안중에도 없고, 철밥통처럼, 기존에 하던 관행을 그대로 지속하는 것에 대해 격분했다는 것이다. **대학에서 왜 그런 자리를 마련할까? 정말 궁금하다. 고위직 공무원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대학에서 자리를 맡는 관행은 왜 생겼을까? **아마도 이런 이유? 국립대라면, 정부로부터 예산 지원이 필수다. 대학에서도 고위직 공무원에게 자리를 마련해주고, 그런 지원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어서가 아닐까? 공직에 있..
50억 클럽 자화상, 세상에 이런 일이! 50억 클럽이라니--, 세상에 이런 일도 있네, 뭘 어찌어찌해서 돌봐주고 밀어주고 당겨주고, 일명 '대장동 사업' 관련해서, 50억을 받을 사람 명단이 있다는 소리다. 은밀하게, 아주 비밀리에 50억을 받는 사람, 그 얼굴 얼굴들, 대부분 법조인들이다. 우리 법조인들의 자화상이다. 어제 그 중 한 사람, 박영수라는 얼굴이 구속영장 심사를 받을 거란, 뉴스를 보고, 90%는 구속되겠지, 그런데 밤 늦은 자막뉴스에 보니, 구속영장 기각이라고 한다. **50억 클럽 말 나온 곳은? 국민 전체를 피곤하게 만들었던, 대장동 사업 주역의 입에서 나온 명단인데, 그 (김만배)가 뱉은 이름 중에서, 권순일, 박영수, 곽상도, 김수남, 최재경, 그리고 홍 아무개, 앞의 5명은 얼굴이 다 익은 사람들이다. 법관이나 검사 ..
평화로운 나라 1위 아이슬란드, 한국 43위 북한 149위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 1위는, 아이슬란드로 꼽혔다. 그 다음 순위는, 덴마크->아일랜드->뉴질랜드->오스트리아->싱가포로->포르투갈-> 슬로베니아->일본->스위스, 순서로 10위까지다. **일본이 평화로운 나라 9위? 요즘, 북한 미사일 발사 때문에, 비상도 걸리고 그런 마당에, 그래도 일본은, 한국에 비해 훨씬 평화로운 나라로 지목되었다. 한국은 43위, 북한은 149위다. 한국이 평화로운 나라에서 상위권에 포함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북한이 늘 위협한다, 중국, 러시아도 잠재적이지만 위협을 느끼는 대상국이기 때문이 아닐까? 북한이 평화로운 나라에서 바닥인 이유는, 스스로 위협을 창출하며, 국민들을 기만하고, 한미연합군이 늘 지켜보고 있고, 옆에서 중국도 언제든 개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거..
러시아 용병 반란 목적은 군부 지도자 체포 지금 막 CNN보도에서 나온 기사 내용이다, 프리고진이 주도한 군부 반란 목적은, 푸틴 축출이 아니라, 군부지도자 두 사람이었다고 한다. 체포하고자 했던 러시아 군부 지도자 이름은,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부장관, 발레리 게라시모프 육군최고사령관이었다. 용병부대가 이 두명의 군부지도자를 체포하기로 결심했던 때는, 군부 반란을 일으키기 직전이었다. 이들이 전장지역을 방문했을 때, 직접 체포하려 했는데, 이 사실을 러시아 연방보안국에서 먼저 정보를 획득했고, 특히 공군사령관 세르게이 수로비킨이 용병부대 수장 프리고진에게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한다. 그러자, 프리고진이 모스크바로 진격할 것을 명령했다는 얘기다. **어디서 보도했나?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이 사실을 보도했고, CNN 등 다른 언론에서도 이 사실을 ..